반응형 - 일반·제도15 출장 제도: 출장 지원은 어떻게 해야 할까?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가 일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여러 회사들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 또는 일부 재택근무를 도입했는데요. 초반에는 어색했던 비대면 미팅이 일반화되었고, 소위 “뉴노멀(new normal)”이라고 하는 새로운 기준과 방식들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수그러들면서 많은 기업들이 다시 전체 또는 일부 오피스 근무로 회귀하였듯, 정상적인 사업을 위해서는 대면으로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들이 분명 있습니다. 오늘은 외부의 대면 업무를 위해 오피스가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근무하는 ‘출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출장은 업무의 일환이기 때문에, 출장에 필요한 지원은 곧 회사가 제공을 해야 하는데요... 2022. 9. 24. 홀라크라시(Holacracy)의 구조와 로직 (feat. 서클, 링크, 거버넌스 등등) 일전에 다룬 승진제도와 수평문화에서 홀라크라시(Holacracy) 조직구조에 관해 짧게 이야기해 보았는데요. 오늘은 조금 더 깊이 있게 다뤄보고자 합니다. 앞서 언급한 포스팅에서도 한 이야기지만, 특히나 홀라크라시와 같은 혁신적인 패러다임 시프트는 성급히 적용하면 실패하기 십상입니다. 더불어 조직구조란 결국엔 사업의 특성, 조직문화, 비전 등을 고려하여 심사숙고해야 하는 문제인 만큼, 오늘의 포스팅은 홀라크라시의 로직을 이해하고 착안할 수 있는 요소 정도를 발굴한다거나, 나아가 단계별로 준비할 수 있는 플랜을 어떻게 세울지에 대해서도 구상해보는 계기 정도가 되기를 바랍니다. 홀라크라시란 홀라크라시란 1967년에 발간된 아서 쾨슬러(Arthur Koestler)의 저서 에서 소개된 ‘holarchy’라는 .. 2022. 9. 9. 위대한 비즈니스는 때때로 우연한 만남으로부터 시작된다 전설적인 영국의 록밴드 비틀즈(The Beatles)는 아주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때는 1957년 7월 6일. 당시 15살이었던 폴 메카트니는 울튼 교구 교회에서 주최하는 정원 축제(Woolton Parish Church Garden Fete)에 참석했습니다. 그가 활발한 교구민이거나 독실한 기독교인이라서가 아니라, 축제에 가면 여자를 만날 수 있을 거라는 사춘기 소년의 기대감 때문이었죠. 하지만 그곳에서 폴 메카트니는 마음에 드는 짝을 찾지 못했고, 꿩 대신 닭의 심정으로 본인이 좋아하는 음악 공연을 관람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그날 울튼 교회 축제에는 당일이 되어서야 겨우 공연을 허가받은 고등학생들의 밴드가 있었습니다. 폴 메카트니는 쿼리맨(The Quarrymen)이라는 그 밴드의 공연을 .. 2022. 9. 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