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함관리 앱으로 유명한 리멤버 서비스를 운영하는 드라마앤컴퍼니에서 새로운 채용공고 서비스인 리멤버 블랙을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리멤버 블랙은 일반 채용공고랑 달리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대한민국 상위 5%에 속하는 억대 연봉자들만 사용할 수 있는 채용 공고 서비스인데요. 국내에서는 최초로 연봉 1억 원 이상의 연봉자를 대상으로, 연봉 1억 원 이상의 채용 공고들만 모았다고 합니다.
여기서 연봉 1억이란, 기본연봉을 말하는 건 아니고, 전년도 국세청의 근로소득 총액(원천징수 기준)이 1억 원 이상인 경우를 말하는 것이며, 리멤버 블랙 페이지에 게시가 가능한 채용 공고 또한 인센티브를 포함한 총 보상이 1억 원 이상을 뜻한다고 합니다.
본인이 연봉 1억 이상인지는 리멤버 블랙 사이트(바로가기)에서 회원가입을 한 후 국세청 간편 인증으로 쉽게 인증할 수 있다고 하며, 인증한 회원은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앤컴퍼니는 억대 연봉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고가 한정적이다 보니 기존에는 지인을 통해 정보를 얻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는데, 리멤버 블랙에서는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하이엔드급 채용 공고를 일반 신입과 경력직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잡포털처럼 업종, 근무지, 직무, 보상 등의 조건으로 보기 쉽게 나열한 점에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소위 “최상위”의 시장을 공략하는 건 리멤버 블랙이 최초는 아닙니다. 소개팅 앱에서는 일찌감치 이러한 사례들이 있었는데요. 예컨대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를 졸업한 회원만 받는 ‘스카이 피플’, 대기업 직원들만 가입할 수 있는 ‘메이저’, 그리고 서울대 재학생과 졸업생만 사용할 수 있는 ‘스누 매치’와 같은 ‘스펙형 소개팅 앱’들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상위 계층에게만 문을 열어준 서비스를 두고 당연히 엘리트주의라는 비판이 일기도 했는데요, 실제 사용자들은 일반 데이트 어플 대비 높은 매칭률과 회원 정보의 정확도로 만족감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과연 리멤버 블랙은 소위 ‘그사세(그들이 사는 세상)’라는 논란을 어떻게 피해 갈지 기대가 됩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1억 원”이라는 기준을 차치하고 본다면, 리멤버 블랙이라는 신규 서비스에는 고무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바로 보상 투명성인데요. 리멤버 블랙은 지원자도, 고용주도 1억 원이라는 기준선에 대해 서로 분명히 협의한 상태에서 채용 프로세스를 시작한다는 점이 다른 서비스와의 차별점입니다.
한국에서 고용주는 제시하는 연봉에 대해 “추후 협의” 또는 “내규에 준하여 결정” 등의 이유로 공개를 하지 않고, 지원자는 처우협의시 채용담당자에게 공개하는 과거와 현재의 보상 내역이나 정보를 일부 왜곡하거나 과장하는 방법으로 연봉을 높이려는 모습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한국식 채용과 처우협의의 문화는 현재 일고 있는 미국 시장의 변화에 따라 바뀔지도 모릅니다. 2022년 말부터 미국에서는 여러 주에서 연봉을 공개해야 하는 법률(Pay Transparency Law)가 제정되고 있는데요. 일명 ‘급여 공개법’ 또는 ‘임금 투명성법’이라고 불리는 법안에 따르면 채용 공고에 연봉의 범위(Pay Range)를 반드시 기재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재직 중인 직원이 본인의 포지션에 대한 Pay Range를 문의할 때에도 회사가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주에서 해당 법률의 적용이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상세한 세칙까지는 나오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여러 미국 기업들에서는 임금차별금지의 문제가 없도록 최대한 연봉 범위를 넓게 잡고 포지션을 세분화하는 등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회사와 지원자 모두에게 상당히 민감한 주제다 보니, 서서히 나올 세칙이나 언론 보도 및 여론을 주시해가면서 추가 조정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흐름에서 과연 리멤버 블랙은 임금 투명성이라는 타이틀을 내세울 수 있을지, 그리고 엘리트주의라는 비판을 이겨낼 수 있을지 자못 궁금해집니다.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연봉 올리는 팁 : https://hrlog.tistory.com/23
연봉협상 팁 : 올해는 연봉을 더 높여보자!
요즘 같은 시기에 인사담당자들은 지인들로부터 연락을 많이 받게 됩니다. 바로 연봉협상 시즌 때문이죠. 어떻게 하면 연봉을 더 높일 수 있을지, 업계의 평균 인상률은 어느 정도 수준인 건지,
hrlog.tistory.com
'- 채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와 편향 (61) | 2023.10.05 |
---|---|
취업 면접 한 번에 합격하는 방법 Step 5 (1) | 2023.01.26 |
영문 이력서(Resume, CV) 작성 팁 5가지 (0) | 2022.12.29 |
면접의 문법 : 당신의 엄지의 법칙(rule of thumb)은 무엇입니까? (0) | 2022.08.29 |
채용에 조급해지면 안되는 실리적인 이유 (0) | 2022.08.18 |